본문 바로가기
English Expression of the Day

이 중 4개 이상이면, 당신은 절대 독학 못합니다

by 올리비아엄 2025. 4. 15.

안녕하세요, 올리비입니다.
공부 계획은 매번 새롭게 세우지만, 며칠 못 가서 무너지는 분들…
혹시 본인 이야기인가요?

"이번엔 진짜 열심히 해보자!" 다짐했지만,
3일 뒤엔 유튜브 보면서 ‘그래, 오늘은 쉬자’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 적 있다면, 이 글이 분명 도움이 될 거예요.

 

 

 

❗️다음 항목 중 4개 이상 해당된다면, 독학보다 ‘가이드’가 꼭 필요합니다.

  1. ✔ 공부 시작 전 “어디부터 할까?” 고민하며 시간을 보낸다
  2. ✔ 하루 공부 계획이 자주 바뀐다, 또는 없어진다
  3. ✔ 공부 중간중간 딴생각을 하다가 정체된다
  4. ✔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는 게 효과적인지 확신이 없다
  5. ✔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자주 멈춘다
  6. ✔ 스스로 만든 계획표가 무용지물이 된 적이 여러 번이다
  7. ✔ 피드백이나 점검 없이 그냥 진도만 나간다
  8. ✔ 새로운 인강/교재를 자주 바꾼다
  9. ✔ ‘이번엔 제대로 해보자’는 생각만 반복된다
  10. ✔ 혼자 공부할 때 외부 자극(폰, 영상 등)에 쉽게 무너진다

 

멘탈을 흔드는 5가지 공부 착각

1. 계획을 잘 세우면 공부도 잘 될 거라는 착각

→ 계획은 ‘실행할 수 있을 때’만 의미가 있어요.
실천 불가능한 계획은 오히려 자존감을 떨어뜨립니다.

2. 혼자 하면 집중이 더 잘 될 거라는 착각

→ 혼자는 자유롭지만, 동시에 가장 쉽게 무너지는 구조입니다.
작은 피드백이나 동기부여 하나만으로도 몰입도가 완전히 달라져요.

3. 성공한 사람의 루틴을 따라 하면 나도 될 거라는 착각

→ 누군가의 루틴은 그 사람에게 최적화된 방식일 뿐이에요.
자신의 리듬과 뇌의 흐름에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.

4. ‘완벽하게 이해해야 넘어간다’는 착각

→ 완벽주의는 독학의 적이에요.
일단 큰 흐름을 잡고, 디테일은 반복 속에서 쌓는 것이 정석입니다.

5. 내가 지금 부족하다는 불안감이 공부를 도와줄 거라는 착각

→ 불안은 잠깐의 동기일 뿐, 지속적인 에너지가 되지 않습니다.
불안을 관리하지 않으면 금방 번아웃에 빠져요.

 

 

그렇다면, 루틴이 잘 잡히는 사람들의 특징은?

 

  • 공부 시작 전, ‘정확한 루트’가 정리되어 있다
  • 공부 시간보다 ‘집중 시간’에 집중한다
  • 루틴을 분석하고 매주 피드백을 받는다
  • 반복할 수 있는 시스템(예: 주간 테스트, 미션 설정 등)이 있다
  • 목표가 수치화되어 있다 (ex. 이번 주 단어 150개 테스트 등)

 

독학이 안 되는 이유는 당신의 ‘의지’가 아니라 ‘시스템’ 때문입니다.'

✔️ 당신이 계획을 못 지키는 이유는 게으름이 아니라, 너무 계획 위주로 공부했기 때문이고,
✔️ 자꾸 딴짓하게 되는 건 집중력이 부족한 게 아니라, 공부 흐름을 몰라서인 경우가 많아요.

혼자 하는 독학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,
혼자만의 한계를 넘어서는 ‘루틴 설계 + 점검 시스템’이 병행되어야 제대로 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✅ 독학이 흔들릴 때 체크해보세요 (체크리스트)

 

💡 나의 공부 습관 진단표

☐ 공부 계획만 세우고 실행이 잘 안 됐다
☐ 집중하려고 해도 자꾸 산만해진다
☐ 진도를 나갔지만 기억에 잘 안 남는다
☐ 어느새 유튜브와 인스타로 손이 간다
☐ 공부 방법을 바꾸는 걸 자주 반복한다
☐ 누가 점검해줬으면 좋겠다고 느낀 적 있다
☐ 루틴이 없으면 공부가 흔들린다

→ 4개 이상 해당되면, 나에게 맞는 학습 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

 

 

 

안되는게 아니라, 방법을 몰랐던 것 일 수도 있어요.

이 글을 읽으신분들에게 공부를 '다시 시작할 용기'를 주었다면,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기쁩니다!

그럼 우리 모두,
오늘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다시 읽어보면서
지금 나에게 부족한 건 무엇인지,
무엇이 나를 자꾸 흔들리게 했는지를 돌아봐요.

공부는 늘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
중요한 건 다시 돌아오는 마음, 다시 해보려는 용기예요.

이 글이 그 출발선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.